관재탑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관재탑

메뉴 리스트

  • 홈
  • SQL
  • 그로스해킹
  • 구글 스프레드시트
  • 분류 전체보기 (47)
    • SQL (29)
      • MySQL과 Postgre SQL의 차이점 (1)
      • MySQL 이론 (7)
      • MySQL 문제풀이 (19)
      • MODE project (2)
    • 그로스 해킹 (14)
    • 구글 스프레드시트 (2)

검색 레이어

관재탑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그로스 해킹

  • Minimum Detectable Effect(최소 검출 가능 효과)

    2022.11.19 by 관재탑

  • t검정 종류

    2022.11.19 by 관재탑

  • A/B 테스트

    2022.11.19 by 관재탑

  • MRR

    2022.11.12 by 관재탑

  • CAC와 CPA의 차이점

    2022.11.08 by 관재탑

  • 공헌이익

    2022.11.07 by 관재탑

  • CAC와 LTV

    2022.11.06 by 관재탑

  • 소비자의 참여를 나타내는 지표

    2022.11.06 by 관재탑

Minimum Detectable Effect(최소 검출 가능 효과)

아래 그림은 여행상품을 판매하는 회사의 웹사이트를 개선하는 A/B 프로젝트를 시행하는 상황입니다. 위 그림에서 손익분기점을 넘기 위해서 연간 25,000개의 보험을 판매해야 하며 이는 여행을 예약하는 손님의 3.42%가 여행자 보험을 추가로 구매해야 하는 것입니다. 즉, 보험으로의 전환율이 A/B 테스트의 핵심일 경우 3.42%가 효과크기의 최소점이 될 수 있습니다. 3.42%가 MDE가 되는 것이죠 MDE를 정하는 명확한 기준은 없으며 각자 사정에 맞춰서 결정을 해야합니다. MDE는 자료가 별로 없어서 공부하기가 조금 힘들네요,,, ㅎㅎ 참고자료 https://playinpap.github.io/abtest-setting-mde/#:~:text=%EC%9D%B4%EB%A5%BC%20%EA%B3%A0%E..

그로스 해킹 2022. 11. 19. 17:20

t검정 종류

평균 검정이란 집단의 평균을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가설 검정 방법으로 크게 z-검정, t-검정, 분산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z-검정, t-검정은 비교 집단이 2개 이하일 경우 사용하며 분산분석은 비교 집단이 3개 이상일 경우 사용한다. z-검정은 모분산을 알고 있을 때 사용가능하며 t-검정은 모분산을 모를때도 사용 가능하다. 당연히 대부분의 경우 모분산을 모르므로 t-검정을 사용한다. 1. One sample t-test 한개 표본의 평균과 특정한 평균값을 비교 검증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모든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지능이 100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고등학교 2학년 5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지능검사를 실시합니다. 지능 검사의 평균이 104일 때 4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검..

그로스 해킹 2022. 11. 19. 14:19

A/B 테스트

표준 오차 (Standard Error) 모집단에서 표본을 뽑아낸 뒤에 표본 평균을 측정 문제는 모집단에서 표본을 뽑을 때마다 표본 평균이 조금씩 달라짐 표본 평균의 변동성은 표본 분산과 표본 집단의 크기로 알 수 있는데 이를 표준 오차라고 함 표본 평균의 변동성 = 표준 오차 (standard error) 표본 크기가 커지면 표준 오차(표본 평균의 변동성)는 줄어들음 표본 표준 편차가 커지면 표준 오차(표본 평균의 변동성)은 커짐 신뢰 구간 (Confidence Interval) 표본 평균의 확률 분포는 표본 크기가 충분히 크면 정규 분포를 따름 표본 평균과 표준 오차를 통해 정규 분포를 이용해 표본 평균의 범위를 알 수 있음 1.96은 표준 정규 분포에서 97.5 백분위 수에 해당함 여러 개의 다른 ..

그로스 해킹 2022. 11. 19. 00:25

MRR

Recurring Revenue 기간마다 반복해서 발생하는 매출 주로 Saas회사의 구독서비스에서 많이 쓰이는 지표이다. 정의 ARR(Annual Recurring Revenue)는 "연간 반복 수익", MRR(Monthly Recurring Revenue)는 “월간 반복 수익”이라는 뜻으로 주로 구독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에 쓰이는 지표이다. 구독 서비스는 고객이 복리 형식으로 늘어난다(이번달 고객 + 저번달 고객 + 저저번달 고객 + …). MRR 계산방법 MRR = 사용자수 * 평균 월간 사용료 = 사용자별 사용료의 합계 1) 순환매출과 일회성 매출을 구분 MRR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순환 매출(Recurring Revenue)과 일회성 매출(non-Recurring Revenue)을 구분해야 함. 2..

그로스 해킹 2022. 11. 12. 14:12

CAC와 CPA의 차이점

CAC란 무엇인가? Customer Acquisition Cost의 줄일말로 고객획득비용이다. 공식 : 마케팅 비용/마케팅으로 새로 모집한 고객 수 마케팅을 실행하는 캠페인 단위에서 측정하는 게 아니라 사업 전체적인 측면에서 보는 관점이 더 크다 실제로 수익을 일으키는 고객을 얻을 때 사용한다. CPA란 무엇인가? Cost per Acquisition의 줄임말이다. 공식 : 캠페인 비용 / 캠페인으로 전환된 고객수이다. 사업 전체적인면보다 개별 캠페인 단위에서 측정하는 성격이 강하다. 실제로 수익을 일으키는 고객이 아닌 클릭, 전환, 회원가입, 앱 다운로드 같은 것을 일으키는 고객을 측정하는 지표로 많이 쓰인다. CPL, CPC 지표와 더 가깝다. 참고자료 https://www.lean-case.com/..

그로스 해킹 2022. 11. 8. 11:40

공헌이익

매출액 - 영업비용(고정비용 + 변동비용) = 영업이익으로 회계를 단순화한다고 가정 (매출액 - 변동비) - 고정비 = 영업이익 매출액 - 변동비 =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단위당 매출액 - 단위당 변동비 = 단위당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per unit) 총 공헌이익 / 총 매출액 = 공헌이익률 단위당 공헌이익 / 단위당 매출액 = 공헌이익률 고정비 = 매출액의 증감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 예) 매장, 공장 임차료 변동비 = 판매량에 따라 정비례하게 늘어나는 비용 예) 판매원가 공헌이익 고정비 : 영업이익 흑자 공헌이익 개념을 Sa..

그로스 해킹 2022. 11. 7. 00:25

CAC와 LTV

LTV(Life Time Value) 한 명의 고객이 기업과 거래를 시작한 다음 이를 멈출 때까지의 기간을 고객 라이프 사이클이라고 합니다. LTV는 한 명의 고객이 고객 라이프 사이클 기간 동안 기업에 얼마만큼의 이익을 가져오는지를 측정한 지표입니다. LTV 계산 공식 LTV 계산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LTV = 이익×거래 기간(라이프타임)×할인율(현재 가치 계수) LTV = 고객의 연간 거래액 × 수익률 × 고객 지속 연수 LTV = 고객의 평균 구매 단가 × 평균 구매 횟수 LTV = (매출액 – 매출 원가) ÷ 구매자 수 LTV = 평균 구매 단가 × 구매 빈도 × 계속 구매 기간 LTV = (평균 구매 단가 × 구매 빈도 × 계속 구매 기간) -(신규 획득 비용) + 고객 유지 비용 LTV를 ..

그로스 해킹 2022. 11. 6. 19:34

소비자의 참여를 나타내는 지표

1. DAU, WAU, MAU 일간 순 이용자수(DAU, Daily Active User), 주간 순 이용자 수(WAU, Weekly Active User), 월간 순 이용자 수(MAU, Monthly Active User) 2. Sessions per DAU 하루에 몇번 앱을 여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참여의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3. Time per Session 세션 당 시간 지표이다. 앱을 연다면 얼마나 오래동안 여는지 알 수 있다. 예시) Hinge 같은 데이팅 앱의 경우엔 이용자가 자주 열어보지만 각 세션 당 시간은 낮은 경향을 보인다.

그로스 해킹 2022. 11. 6. 19:1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관재탑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